@#"주민들 몇 억씩 대출 받았는데" 폭발 직전의 용산#@

#%

건국 이래 최대 프로젝트로 꼽히는 31조원 규모의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또다시 고비를 맞고 있다.

2008년 금융 위기로 3년 가까이 중단됐던 이 사업은 지난해 7월 최대 난제(難題)였던 땅값 문제가 해결되면서 정상 궤도에 오르는 듯했다. 하지만 최근 사업지에 포함된 '서부이촌동' 주민 보상을 둘러싸고 문제가 터졌다. 사업자 중 하나인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시행사(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에 파견한 신임 이사(3명)들이 기존 보상 계획에 제동을 걸면서 사업자 간 내홍(內訌)이 불거진 것. 여기에 5년 이상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고 있는 주민들은 '조속한 보상'을 요구하며 집단행동에 돌입, 일이 더 꼬이고 있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사업 자금을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로 조달해 하루 이자만 4억원에 달한다. 사업이 늦어질수록 이자 비용이 불어나 결국 사업 성공을 장담하기 힘든 상황으로 내몰릴 수도 있다.

◇코레일 "주민 보상 계획 바꿔라"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용산 철도정비창과 한강철교에서 원효대교 사이 서부이촌동 일대 56만6800㎡ 땅에 111층 랜드마크 타워를 비롯해 쇼핑몰·호텔·백화점·아파트 등 60여개 동(棟)을 짓는 복합 개발 프로젝트. 완공되면 82조원 경제 유발 효과와 20만명이 넘는 고용 창출도 기대된다.



사업 시행사는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PFV)로 코레일(지분율 25%)이 최대 주주다. 서울시(4.9%)와 롯데관광개발·삼성물산·국민연금·푸르덴셜 등 민간 사업자도 70%를 투자했다.

지난해 8조원대의 땅값 문제를 해결하면서 큰 위기를 넘겼던 이 사업이 최근 또 다른 암초를 만났다. 서부이촌동 일대 주민 보상 방안을 둘러싸고 지난 4월부터 주주 간 알력이 빚어져 사업이 3개월째 겉돌고 있다. 발단은 코레일 정창영 사장(전 감사원사무총장)이 부임한 뒤 드림허브에 새로 파견한 송모씨 등 이사 3명이 갑자기 보상 계획 변경을 요구한 것. 드림허브 측은 3조~4조원으로 추정되는 보상금 마련을 위해 지난해 7월 코레일이 선매입한 랜드마크빌딩 대금(4조1000억원)을 유동화해 1조70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이었다. 나머지는 내년에 분양할 아파트와 오피스 판매대금으로 충당하는 방안을 세웠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코레일도 허준영 사장이 재임하던 지난 3월 이 방안에 동의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 사장이 새로 파견한 이사들은 '보상 재원 조달 방안이 현실성이 없다'며 주주들의 1조원 증자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푸르덴셜 등 다른 주주들은 "지금 계획으로도 재원 조달에 전혀 문제가 없는데 뒤늦게 증자를 주장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반발한다. 코레일 측 이사들은 보상 재원 절감을 위해 단계 개발론도 제기하고 있다. 철도정비창 부지부터 먼저 개발하고 서부이촌동 사유지는 2016년 이후 보상하자는 주장이다. 당초 사유지 보상은 내년 말로 계획돼 있다.


^^